전 세계 해상 운송 회사 시가총액(시총) 순위

전 세계 해상 운송 회사 시가총액(시총) 순위

오늘은 전 세계 해상 운송 회사들의 시가총액(시총) 순위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 해상 운송 회사 가운데 시가총액(시총) 1위 기업은 함부르크의 해운회사 HAPAG와 브레멘의 해운 회사 NDL의 합병으로 설립된 독일 최대의 컨테이너 정기선 회사로 라틴 아메리카, 중동, 대서양, 태평양 횡단 무역에서 탁월한 시장 입지와 브랜드 인지도를 보유하고 있는 하파그로이드였습니다. 2위는 해운 회사, 물류 회사, 에너지 회사 등을 소유하고 있는 세계 최대의 해운 대기업으로 알파라이너 집계 기준 세계 선복량 2위이자 36개국에서 57개의 항구 및 컨테이너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는 머스크였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1 하파그로이드 (Hapg-Lloyd) $29.85 B (약 39.83조) 독일
2 머스크 (Maersk) $29.83 B (약 39.8조) 덴마크

 

 

 

 

 

3위는 2016년 중국원양운수집단과 중국해운집단의 합병으로 탄생한 중국 최대의 중앙국유 해운회사로 1억 592만 DWT의 용량을 갖춘 1,310척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는 코스코 해운이었습니다. 4위는 NYK Line으로 알려져 있는 일본의 해운 회사로 컨테이너선, 유조선, 벌크선, 우드칩 운반선, 롤온/롤오프 자동차 운반선, 냉동선, LNG 운반선, 크루즈선 등 800척 이상의 선박을 운영하고 있는 닛폰유센이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3 코스코 해운 (COSCO Shipping) $20.24 B (약 27.01조) 중국
4 닛폰유센 (Nippon Yusen) $15.88 B (약 21.19조) 일본

 

 

 

 

 

5위는 도쿄 미나토구 토라노몬에 본사를 둔 일본의 해상 운송 회사로 세계에서 네번째로 큰 컨테이너선을 비롯하여 벌크선, 액화천연가스 운반선, 유조선 등을 보유하고 있으며 2022년 8월 쓰루가에서 사카이까지 161해리를 항해하는 최초의 승무원 없는 항해와 자율 해안 컨테이너 선박의 도킹을 성공적으로 완료한 MOL이었습니다. 6위는 2017년 오션 네트워크 익스프레스의 일부가 되기 이전까지 세계에서 14번째로 큰 컨테이너 운송 회사였던 일본 기업으로 벌크선, 유조선, 액체-가스-유조선, 열석탄 운반선을 포함하여 약 500척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는 K Line이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5 MOL (Mitsui O.S.K Lines) $12.60 B (약 16.81조) 일본
6 K Line $11.59 B (약 15.46조) 일본

 

 

 

 

 

7위는 타오위안시 루죽구에 본사를 둔 대만의 컨테이너 운송 회사로 전 세계 80개국, 240개 항만에 기항하고 있으며 운송, 컨테이너 및 선박 건설, 항만 관리, 엔지니어링 및 부동산 개발에 종사하고 있는 에버그린 마린이었습니다. 8위는 대한민국 최대 규모의 해운 회사로 이전에는 현대그룹의 주요 계열사 중 하나였으나 현재는 사실상 국유화가 된 HMM이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7 에버그린 마린 (Evergreen Marine) $10.45 B (약 13.94조) 대만
8 HMM $9.93 B (약 13.25조) 대한민국

 

 

 

 

 

9위는 70개국에 지사를 두고 있는 홍콩의 대규모 통합 국제 컨테이너 운송, 물류 및 터미널 회사로 다양한 등급의 선박을 보유하고 있고 세계 최대 컨테이너선 중 하나인 24,188TEU OOCL 스페인호를 소유하고 있는 OOCL이었습니다. 10위는 에너지 운송, 해상 부유 솔루션, 해양 수리 및 개조, 통합 해양 서비스, 항만 관리 등에 종사하고 있는 말레이시아 최대의 국제 해운 회사로 세계 최대의 LNG 선단 및 유조선 운영업체로 알려져 있는 MISC Berhad였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9 OOCL (Orient Overseas Container Line) $9.51 B (약 12.69조) 홍콩
10 MISC Berhad $6.82 B (약 9.1조) 말레이시아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