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최신 4대보험 요율 정리 총 부담금 계산 예시 포함
4대보험은 근로자와 사업주가 공동 부담하는 사회보장제도로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으로 구성되어있습니다. 2025년부터는 보험료율이 일부 조정되었고 사업주 부담 비율도 변경되었는데요. 이번 글에서는 4대보험 요율, 계산 방법, 사업주 부담금, 인상 내용 등을 자세히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2025년 4대보험 요율 한눈에 보기
보험명 | 가입대상 | 보험료율(%)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국민연금 | 18세 이상 60세 미만 근로자 | 9.00% | 4.50% | 4.50% |
건강보험 | 직장 가입자 | 7.09% | 3.545% | 3.545% |
장기요양보험 | 건강보험 가입자 | 12.81% | 6.405% | 6.405% |
고용보험 | 근로자 및 사업주 | 0.90~1.65% | 0.90% | 0.90~1.65% |
산재보험 | 근로자 보호 | 0.60~18.60% | 없음 | 0.60~18.60% |
- 건강보험료율, 장기요양보험료율이 2025년부터 인상됨
- 고용보험료는 사업장 규모에 따라 다르게 적용
1. 국민연금 요율 (2025년 기준)
국민연금이란?
- 노후 생활을 보장하기 위해 일정 기간 납부 후 연금 형태로 지급
- 18세 이상 60세 미만 국민은 의무 가입
- 월 소득의 9%를 납부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4.5% 부담)
국민연금 보험료 계산 예시 (월급 300만 원 기준)
- 총 납부액: 300만 원 × 9% = 27만 원
- 근로자 부담: 13만 5천 원
- 사업주 부담: 13만 5천 원
최대 납부 기준 소득 월 600만 원 → 최고 54만 원 납부
2. 건강보험 요율 (2025년 기준: 7.09%)
건강보험이란?
- 질병, 부상 발생 시 치료비 부담을 줄여주는 사회보험
- 직장 가입자는 월 소득의 7.09% 납부 (근로자와 사업주 각각 3.545% 부담)
건강보험료 계산 예시 (월급 300만 원 기준)
- 총 납부액: 300만 원 × 7.09% = 21만 2,700원
- 근로자 부담: 10만 6,350원
- 사업주 부담: 10만 6,350원
2025년 건강보험 요율 인상으로 부담 증가
3. 장기요양보험 요율 (2025년 기준: 12.81%)
장기요양보험이란?
- 고령층 및 노인성 질환자를 위한 요양서비스 지원
- 건강보험료의 12.81%를 추가로 납부
장기요양보험료 계산 예시 (월급 300만 원 기준)
- 건강보험료 21만 2,700원 × 12.81% = 2만 7,240원
- 근로자 부담: 1만 3,620원
- 사업주 부담: 1만 3,620원
건강보험료에 추가되는 비용이므로 반드시 확인
4. 고용보험 요율 (2025년 기준: 0.9~1.65%)
고용보험이란?
- 실업 시 구직급여 및 고용 안정 지원
- 근로자 부담 0.9%, 사업주 부담 0.9~1.65% (기업 규모에 따라 다름)
고용보험료 계산 예시 (월급 300만 원 기준, 사업주 부담 1.65%)
- 총 납부액: 300만 원 × 1.65% = 4만 9,500원
- 근로자 부담: 2만 7,000원
- 사업주 부담: 4만 9,500원
사업장 규모가 클수록 사업주 부담 증가
5. 산재보험 요율 (2025년 기준: 0.6~18.6%)
산재보험이란?
- 업무 중 재해 발생 시 보상 지원
- 사업주 전액 부담 (근로자 부담 없음)
- 업종별로 보험료율이 다름 (사무직 0.6%, 건설업 18.6%)
산재보험료 계산 예시 (사무직, 월급 300만 원 기준, 요율 0.6%)
- 총 납부액: 300만 원 × 0.6% = 1만 8,000원
- 근로자 부담: 없음
- 사업주 부담: 1만 8,000원
건설업 등 위험한 직종일수록 산재보험료 부담이 커짐
4대보험 총 부담금 계산 예시 (월급 300만 원 기준, 일반 사무직)
보험명 | 총 보험료 | 근로자 부담 | 사업주 부담 |
국민연금 | 27만 원 | 13만 5천 원 | 13만 5천 원 |
건강보험 | 21만 2,700원 | 10만 6,350원 | 10만 6,350원 |
장기요양보험 | 2만 7,240원 | 1만 3,620원 | 1만 3,620원 |
고용보험 | 4만 9,500원 | 2만 7,000원 | 4만 9,500원 |
산재보험 | 1만 8,000원 | 없음 | 1만 8,000원 |
총계 | 57만 4,440원 | 28만 2,970원 | 31만 7,470원 |
월급 300만 원 기준, 근로자는 약 28만 원, 사업주는 약 32만 원 부담
결론: 2025년 4대보험 요율 변화, 미리 확인하세요
-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요율 인상으로 부담 증가
- 월급에서 자동 공제되므로 정확한 요율 확인 필수!
- 사업주 부담 증가로 인건비 계산 시 필수 고려
4대보험 요율 변동에 따른 월급 실수령액 계산, 꼭 체크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