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 몰랐던 올바른 비닐 분리수거 방법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비닐은 일회용 비닐봉지(위생팩), 지퍼팩, 쿠팡 비닐, 뽁뽁이 등 비닐의 종류도 많고 색상, 형태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종류에 따라 비닐 분리수거하는 곳에 버려야 하는지 아니면 일반쓰레기에 버려야 하는지 헷갈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플라스틱이나 종이류가 재질이나 상태에 따라 분리수거 방법이 다르듯이 비닐 분리수거도 재질, 종류에 따라 분리수거 방법이 다를 수 있는데요. 아래에 대부분 몰랐던 올바른 비닐 분리수거 방법을 소개합니다.

 

 

 

 

비닐 분리수거 방법

일회용 비닐봉투와 같은 비닐류는 색상과 재질 관계없이 모아서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담아서 분리수거하면 녹여서 배수관로 등의 건축자재나 고형연료제품으로 재활용되기 때문에 비닐만 모아서 비닐 분리수거하는 곳에 배출하면 됩니다.

 

다만, PVC 비닐류는 다른 비닐 재질과 혼합 배출시 재활용에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동일 재질만 모아서 배출하시거나 모으기가 힘들면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비닐 분리수거를 할 때는 아파트처럼 전용 분리수거함이 있다면 그곳에 배출하고 빌라나 단독주택은 투명(반투명) 봉투에 담아 배출하면 됩니다.

 

 

 

1. 비닐봉투(위생팩 포함)

검은색, 유색, 투명 비닐봉지 모두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비닐은 종류와 색상에 관계없이 모든 비닐류가 분리수거 배출 대상입니다. 

 

2. 라면봉지, 과자봉지

라면봉지나 과자봉지의 비닐은 모두 재활용이 가능한 비닐입니다. 소량으로 개별 포장된 과자봉지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라면봉지나 과자봉지나 비닐류로 분리수거해서 버리면 되고 스티커나 테이프가 붙어있을 경우는 따로 떼어내서 스티커나 테이프만 일반쓰레기로 버리면 됩니다.

 

3. 에어캡(뽁뽁이)

택배에 들어있는 에어캡(뾱뾱이)은 일반 쓰레기로 착각하기 쉬운데 사실 뽁뽁이는 비닐류로 속합니다. 따라서 에어캡(뽁뽁이)은 비닐류로 흩날리지 않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봉투에 담아서 분리수거하면 됩니다.


4. 지퍼백, 가정용 랩

지퍼백을 분리수거할 때는 상단에 밀폐 부분은 따로 제거할 필요 없이 안의 내용물만 잘 비우고 이물질을 제거한 후 흩날리지 않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담아서 비닐류 분리수거하는 곳에 배출하면 됩니다. 가정용 랩 또한 이물질을 잘 제거한후 비닐류로 분리수거 배출하면 됩니다.

 

5. 개별 포장 봉지

크기가 작은 비닐도 분리수거가 가능합니다. 믹스커피나 작게 개별적으로 포장된 비닐 모두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6. 비닐 포장재, 쿠팡 비닐

빵이나 식제품에서 나오는 비닐포장재, 책, 잡지, 노트 등을 감싸는 얇은 비닐 재질 또한 재활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비닐류로 분리수거 배출하면 됩니다. 쿠팡 비닐 분리수거 역시 송장만 잘떼내어 비닐만 비닐류로 분리수거 하면 됩니다.

 

7. 페트병 라벨

페트병에 붙어있는 비닐 소재 라벨은 따로 떼어서 비닐류로 분리수거합니다.

비닐 분리수거

 

 

 

 

비닐류로 배출하면 안 되는 품목

비닐처럼 보이지만 비닐로 분리수거하면 안 되는 품목들이 있습니다. 또한 주의해서 분리수거해야 하는 비닐류도 있습니다. 오염된 랩, 돗자리, 고무장갑, 장판, 식탁보, 천막, 침구류, 현수막 등은 종량제 봉투, 특수 규격 마대 또는 대형 폐기물로 배출해야 합니다.

 

 

 

1. 테이프, 송장

택배박스에 붙어있는 테이프나 송장 등은 접착제 성분 때문에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테이프, 송장 등 비닐에 붙여진 것들도 재활용이 어려우니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2. 아이스팩

친환경 제품이 아닌 아이스팩은 통째로 일반쓰레기에 버리고 친환경 제품인 경우에는 내용물을 싱크대로 흘려보내고, 포장재가 비닐일 경우에는 비닐류로, 포장재가 종이일 경우에는 종이류로 따로 분리수거 배출합니다.

 

3. 업소용 랩

배달음식을 시켜 먹을 때 업소에서 음식물이 새지 않게 비닐로 씌워 보내는 업소용 랩은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오염물 제거 후 일반 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비닐 분리수거 유의사항

분리수거의 목적은 제품 원료로 재활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염된 비닐은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비닐류를 분리수거할 때는 안의 내용물의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또한 비닐류가 흩날리지 않도록 봉투에 담거나 잘 묶어서 배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만약 폐비닐에 이물질이 심하게 묻어 제거가 안 되는 경우는 종량제 봉투에 담아 배출해야 합니다.

 

 

 

 

알아두면 좋은 비닐류 분리수거 방법 Q&A

1. 양파망, 과일 그물망은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양파망, 과일 그물망은 농수축산물의 합성수지 포장재로써 생산자책임재활용의무품목(EPR)에 해당하므로 비닐류와 함께 투명 또는 반투명 봉투에 담아서 배출하면 됩니다.

2. 기름이 묻은 봉지는 비닐류로 배출해도 되나요?
기름이나 이물질 등이 묻어있는 비닐은 재활용품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제거되어야 합니다. 제거가 어려운 경우는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3. 욕실에 걸어서 사용하는 두꺼운 비닐류의 커튼은 재활용 분리배출이 가능하나요? 아니면 일반 쓰레기로 배출해야 하나요?
욕실 커튼은 일반적으로 생활계에서 배출되는 비닐류와는 성상이 다르기 때문에 재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욕실 커튼은 종량제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4. 택배가 비닐에 담겨서 많이 오는데, 운송장(스티커 부분만) 떼어내고 배출하면 되나요?
비닐류에 종이나 테이프 등이 붙어 있게 되면 재활용 품질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폐비닐 재활용업체에서 수탁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배출 시 종이와 테이프 등 비닐 이외의 재질은 제거하여 주시고, 제거가 되지 않은 경우는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5. 아이스팩 어떻게 처리하나요?
아이스팩 냉매는 물과 젤(고흡수성 수지) 2종류가 있습니다. 물로 된 아이스팩은 가위로 잘라 물을 버리고 포장재는 재질에 따라 분리배출하시면 됩니다. 젤(고흡수성 수지)의 경우는 하수구에 배출 시 수질오염의 원인이 되므로 지역 내에 아이스팩 수거함으로 배출하거나 수거함이 없는 경우는 종량제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6. 생분해 봉투 일반 쓰레기로 버리라고 되어있던데 6개월 내에 스스로 분해된다고요.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나요? 비닐류로 버려야 하나요?
생분해성 재질 포장재는 한국환경산업기술원에서 인증을 받아야 하고, 인증조건에 재활용할 수 없게 되어있습니다. 따라서 생분해성 재질은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야 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알아두면 쓸모있는 유리병 분리수거 방법

▶ 올바른 알루미늄 캔 분리수거, 고철 분리수거 방법

▶ 올바른 종이 분리수거, 종이컵 분리수거, 우유팩 분리수거 방법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