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무(고무장갑) 분리수거 방법, CD 분리수거 방법 안내입니다. 분리수거가 일상화되면서 페트병, 플라스틱, 비닐, 캔류, 고철, 종이류 등 분리수거함이 자리를 잡고 간편하게 분리수거를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복합재질이나 아이스팩, 고무, 고무장갑, CD 분리수거 등 아직까지 다양한 품목들이 분리수거를 어떻게 해야 하는지 헷갈릴 때가 많습니다. 아래에 일상생활에서 헷갈리는 고무, 고무장갑, CD 분리수거 방법 등을 소개합니다.
고무 분리수거, 고무장갑 분리수거 방법
우리가 사용하는 고무장갑이나 대부분의 고무제품은 대부분 합성고무 제품으로 이루어져 재활용이 안되기때문에 분리수거를 할 수 없습니다. 합성고무는 석유에서 추출한 원료를 중합 또는 혼성 중합해 만들어냅니다. 즉, 고무장갑은 석유 화학제품으로 플라스틱이라 봐도 무방합니다. 하지만 고무장갑은 플라스틱 외에도 여러 종류의 합성섬유로 구성되어있어서 재활용이 어렵습니다. 따라서 고무나 고무장갑은 종량제 봉투에 넣어서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고무호스도 마찬가지로 종량제봉투에 넣어서 배출하고 부피가 큰 고무대야는 종량제 봉투에 들어가기가 힘들기 때문에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신고 후 대형 폐기물로 배출해야 합니다. 고무줄, 고무밴드, 풍선 등 고무 재질 역시 재활용이 어렵기 때문에 분리수거가 되지 않습니다. 모두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천연고무는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지만 합성 고무를 뺀 천연고무만을 선별해 수거하는 일은 너무 어려운 일이라서 재활용되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또한 일반인들이 합성 고무와 천연고무를 분류해서 배출하기로 너무 어렵기 때문에 고무 재질은 모두 일반쓰레기 혹은 대형폐기물로 배출해야 합니다.
CD / DVD 분리수거 방법
CD나 DVD, 블루레이 등의 디스크는 재활용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종량제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CD나 DVD가 담겨있는 투명 CD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분리수거하면 됩니다. CD나 DVD안의 앨범커버, 종이 속지를 따로 빼서 종이류로 분리수거하면 됩니다.
CD, DVD, 블루레이 등의 디스크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플라스틱에 얇은 알루미늄 막과 염료를 입히는 특수 화학처리 과정을 거쳐 만들어집니다. 즉 이러한 디스크는 재활용이 어려운 혼합 플라스틱입니다.
알아두면 쓸모 있는 고무, 실리콘, 라텍스 등 헷갈리는 분리수거 방법 Q&A
1. 고무대야, 고무호스는 어떻게 버리나요?
고무대야는 재활용이 되지 않으므로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거나, 담기 어려운 경우는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신고 후 대형폐기물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고무호스는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또한 돗자리, 장판, CD, DVD 등은 재활용이 곤란하므로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거나 대형폐기물 신고 후 배출 수수료를 납부하고 배출해야 합니다.
2. 실리콘 재질로 된 도마, 냄비받침, 주방도구 등은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실리콘은 재활용이 되지 않습니다. 실리콘 주방도구들은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3. 라텍스 베개나 라텍스 매트리스는 어떻게 버려야 하나요?
라텍스 베개는 종량제봉투로 배출하시거나 담기 어려운 경우는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신고하신 후 대형폐기물로 배출해야 합니다. 라텍스 매트리스는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신고하신 후 대형 폐기물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라텍스 장갑은 종량제봉투로 배출하면 됩니다.
4. 핸드폰 젤리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버리면 재활용이 가능한가요?
젤리케이스는 재활용이 되지 않아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5. 플라스틱 핸드폰 케이스인데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하나요?
핸드폰 케이스는 대부분 복합재질로 되어있어서 재활용이 어려우니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6. 카세트테이프는 어떻게 버리면 되나요?? 그냥 플라스틱에 버려도 될까요??
재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재질별로 분리한 후 배출해 주셔야 합니다. 카세트테이프의 내부 필름은 분리하여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시고,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