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쓸모있는 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

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 안내입니다. 스티로폼은 PS재질 안에 공기를 집어넣어서 팽창시킨 플라스틱 제품입니다. 스티로폼은 공기가 들어가 있기 때문에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작용과 열을 차단하는 단열효과가 뛰어나지만 이러한 스티로폼을 분리수거할때 어떻게 버려야 하는지 고민이 되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스티로폼은 기본적으로 재활용이 되지만 스티로폼을 분리수거할때는 알아야 할 점이 몇 가지가 있는데요. 아래에 알아두면 쓸모있는 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을 소개합니다.

 

 

 

 

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

스티로폼은 배달 용기, 완충재, 아이스박스 등의 용도로 우리 일상 속에서 굳건히 자리 잡고 있는 일회용품 중 하나입니다. 이러한 폐 스티로폼은 폐기물 업체에서 수거한 후, 분쇄와 압축 등의 공정을 거쳐 경량 콘크리트, 잉고트 등의 산업재로 재활용됩니다.

 

따라서 스티로폼을 분리수거할때는 최대한 재활용될 수 있도록 더욱더 올바르게 분리배출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가장 먼저 스티로폼을 분리수거할 때는 깨끗한 것이 우선입니다. 테이프나 스티커가 붙어있으면 반드시 제거 후, 내용물이 보이도록 투명 비닐에 넣어 배출합니다. 이물질이 묻어있는 스티로폼은 물로 깨끗이 세척한 후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스티로폼을 분리수거할때는 플라스틱 용기류, 비닐류와 구분하여 별도로 마련된 스티로폼 수거함에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1. 스티로폼박스(완충재), 아이스박스

스티로폼 박스나 아이스박스는 모두 스티로폼으로 재활용할 수 있습니다. 스티로폼 박스나 아이스박스를 분리수거할 때는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배출합니다. 부착상표 등 스티로폼과 다른 재질은 제거한후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혹시 이물질이 너무 많이 묻었다면, 재활용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스티로폼을 작은 크기로 잘라서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 쓰레기로 버려 주시면 됩니다.

2. 일회용 접시, 컵라면 용기

일회용 접시나 컵라면 용기 등의 스티로폼음식물이 완전히 제거되어 흰색 스티로폼 상태여야만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일회용 접시, 컵라면 용기를 분리수거할 때는 음식물을 깨끗이 씻어낸 후 분리수거하고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되지 않으면 종량제 봉투에 넣어 일반쓰레기로 배출해야 합니다.

 

 

 

분리수거 불가능한 스티로폼 종류

스티로폼처럼 보이지만 스티로폼으로 분리수거할수 없는 품목도 있습니다. 이러한 품목들은 품목마다 처리방법에 맞게 배출해야 합니다.

 

 

 

1. 건축 자재용 스티로폼

건축 자재용 스티로폼은 산업폐기물이기 때문에 스티로폼으로 분리수거할 수 없습니다.

 

2. 정육점 스티로폼

정육점에서 고기구입시 고기가 담겨있는 스티로폼은 트레이처럼 무늬와 색상이 있거나 비닐이 코팅되어있어서 재활용이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정육점 스티로폼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3. 사과, 배 등 과일 포장 스티로폼

사과나 배 등 과일 개별 포장에 쓰이는 스티로폼은 재활용 가치가 낮아 모두 폐기된다고 합니다. 따라서 과일 포장 스티로폼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 일반쓰레기로 배출합니다.

스티로폼 분리수거

 

 

 

 

스티로폼 분리수거 시 유의 사항

- 스티로폼은 큰 분류로는 플라스틱에 해당됩니다. 하지만 다른 플라스틱류와 다른 방식으로 재활용되기 때문에 플라스틱과는 따로 분류해서 재활용해야 합니다.

- 여러 개의 스티로폼 박스를 버릴 경우엔 바람에 날아가지 않도록 끈으로 묶거나 큰 비닐에 담아서 스티로폼 분리수거 장소로 배출해야 합니다. 바람에 날아간 스티로폼 박스가 강이나 바다로 유입되어 해양쓰레기로 변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알아두면 좋은 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 Q&A

1. 마트에서 고기, 생선 보관하는 용기인데요, 뒷면에 PS로 표시되어 있으면 플라스틱으로 버리면 되나요? 아니면 스티로폼인가요? 용기 느낌은 스티로폼용 같거든요.
플라스틱은 PS, PP, PE 등으로 표시하고, 스티로폼은 Expanded Poly Styrene이라고 해서 플라스틱에 기포를 만들어 부피를 크게 한 것으로 EPP, EPE, EPS 등으로 표시합니다. 따라서 플라스틱의 종류는 맞으나 배출하실 때는 스티로폼으로 배출하면 됩니다.

 

2. 스티로폼 컵라면 용기를 깨끗이 씻었는데도 빨갛게 남아있으면 재활용이 안 될까요?
컵라면 용기는 사용 후 세척과정에서 기름 등의 이물질이 완전히 제거가 어렵고 일부 남아있을 것으로 사료됩니다. 재활용품보다는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3. 완전히 색깔로 채워진 스티로폼은 안된다고 본거 같은데 빨간색 줄무늬로 되어있는 스티로폼은 어떻게 배출해야 하나요?
스티로폼은 색상에 관계없이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한 상태로 스티로폼과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재활용품으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4. 전자제품 구입 시 완충재로 사용되는 발포 합성수지 포장재의 구입처로 반납이 안 되는 상황입니다. 용량이 100리터쯤 되는데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나요?
전자제품 완충재는 가급적 구입처로 반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납이 어려운 경우 스티로폼 이외의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 흩날리지 않도록 묶어서 재활용품으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5. 깨끗한 단열재 스티로폼 무조건 폐기물인가요? 깨끗하고 본드 묻지 않은 거의 새거같은 건설용 단열 스티로폼은 왜 재활용이 안되는지 궁금합니다.
건축용 내외장재 스티로폼은 일반적으로 재활용되는 스티로폼과는 재질이 다르므로 종량제 봉투에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과일을 직접 감싸는 형태의 스티로폼(과일 완충재)과 박스 내 밑에 과일 모양으로 동그랗게 층을 낸 스티로폼은 어떻게 배출하나요?

과일망의 경우, 발생량이 적고 수거가 어렵다 보니 재활용업체에서 수거를 거부하거나, 수거를 하더라도 경제성이 낮아서 재활용이 되지 않고 잔재물로 처리되는 경우가 많은 어려운 현실을 반영하여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는것을 권장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