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안내입니다. 많은 분들이 페트병을 플라스틱 쓰레기로 분리수거를 잘 해왔다고 생각하지만 실제로 분리수거된 페트병 중 재활용률은 절반도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그 이유는 제대로 분리배출이 되지 않았기 때문이며 그중 가장 큰 이유는 페트병을 버릴 때 상표 라벨을 제거하지 않는 경우가 대표적입니다. 아래에 올바른 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을 소개합니다.

 

 

 

 

올바른 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플라스틱은 크게 페트병류와 플라스틱류로 나눌수 있습니다. 기존에는 다른 플라스틱과 페트병을 함께 배출했지만 2020년부터는 페트병과 플라스틱을 별도 분리배출하는 시범사업이 시작됐습니다. 특히 투명 페트병은 별도로 선별해서 배출해야 하는데 음료수 용기 중에서도 투명 페트병이 플라스틱 중 가장 재활용 가치가 크기 때문입니다.

 

1. 페트병 라벨 제거하기

페트병류는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하여 분리수거 해야합니다. 이때 부착상표, 부속품 등 본체와 다른 재질은 제거한 후에 배출합니다. 플라스틱 역시 내용물을 비우고 물로 헹구는 등 이물질을 제거한 후 분리수거합니다. 역시 부착상표, 부속품 등 본체와 다른 재질을 제거한 후 페트는 페트병에 플라스틱은 플라스틱 재활용하는 곳에 각각 분리수거합니다.

 

2. 플라스틱 종류에 맞게 분리수거하기

플라스틱류는 재활용 마크의 재질에 따라 종류별로 버려야합니다. 플라스틱은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것보다 종류가 다양하며 종류별로 플라스틱을 분리해서 배출해야만 재활용률을 높일 수 있습니다.

 

- HDPE (고밀도 폴리에틸렌) : 단단한 플라스틱으로 우유통, 장난감, 세제 용기 등
- L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 부드럽고 말캉한 플라스틱으로, 비닐장갑, 포장봉투, 지퍼백 등
- PP (폴리프로필렌) : 열에 강한 반투명 플라스틱으로, 페트병 뚜껑, 밀폐용기, 도시락 용기, 빨대, 플라스틱 컵 등
- PS (폴리스티렌) : 가볍고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운 플라스틱으로, 요구르트병, 스티로폼 용기, 음료 라벨지 등
- PVC : 파이프, 장판, 전선, 바닥매트 등
- OTHER : 표시재질에 표기되지 않은 단일재질 및 2가지 이상의 플라스틱 재질이 복합된 재질

플라스틱 분리수거 방법, 올바른 분리배출 방법

 

 

 

 

플라스틱 분리수거 유의할 점

- 샴푸, 식기세정제 등 펌핑식(디스펜서) 플라스틱 용기는 펌프를 분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 내용물이 지저분하면 씻어서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 뚜껑이 같은 재질이면 압축 후 뚜껑을 다시 닫아서 분리수거해야 합니다.

- 빨대나 볼펜과 같이 작고 가벼운 플라스틱은 선별과정에서 골라내기 힘들어 재활용이 힘들다고 합니다. 이러한 작은 플라스틱은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버리면 됩니다.

 

 

 

알아두면 좋은 플라스틱 분리수거 Q&A

1. 투명 페트병을 따로 배출해야 하는데요, 그렇다면 페트병이 아닌 투명 페트들도 투명 페트병과 함께 배출하면 되는 건가요? 과일 용기 등에 페트라고 적힌 투명 페트 플라스틱은 어떻게 배출해야 하나요?
투명 페트병(먹는 샘물, 음료) 용기는 페트병 수거함에 배출해 주시고, 그 외의 용기류(반투명, 유색, 과일 용기 등)는 플라스틱 수거함으로 배출하면 됩니다.


2. 찜, 탕과 같은 배달음식의 경우 씻어내도 빨간색이 착색되어 있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버리나요?
배달 용기에 색이 베어 있더라도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이 헹궈서 이물질이 제거된 상태라면 재질에 맞게 재활용품으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3. 다 쓴 화장품(플라스틱 용기)은 재활용되나요?
플라스틱 화장품 용기는 생산자 책임 재활용제도(EPR) 대상 품목에 해당됩니다. 따라서 배출 전 내용물을 비운 후 깨끗한 상태로 플라스틱 수거함으로 배출해 주면 됩니다.


4. 다 사용한 치약은 어떻게 처리해야 하나요?
치약은 생산자책임재활용제도(EPR) 대상 품목이므로 재활용 의무 대상에 해당합니다. 치약과 같은 튜브 용기의 경우는 입구가 작아서 완전히 세척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에 내용물을 비우고 물을 흡입시켜서 최대한 헹군 후 플라스틱으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치약 뚜껑과 같은 크기가 작은 것은 재활용 선별장에서 선별이 어렵기 때문에 투명봉투에 같은 종류만 모아서 배출하거나, 모으기 어려운 경우는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 주면 됩니다.


5. 플라스틱 분리배출할 때 잘 씻고 헹구고 버리고 있어요. 근데 말려서 버린 적은 없거든요. 근데 물기가 있는 플라스틱은 재활용을 못하고 그냥 버린다고 한다던데 정말인가요?
물기가 남아있어서 재활용이 안 되는 것은 아니지만 물기가 많이 남아있는 경우 배출, 운반, 보관 과정에서 부패할 수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물기를 제거한 후 재활용품으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6. 음식 포장할 때 플라스틱 용기에 비닐을 눌러 압착해서 포장해 주셨는데 플라스틱에서 비닐이 완벽하게 떨어지지 않아요. 어떻게 배출해야 하나요?
비닐과 플라스틱을 재질별로 분리해서 배출하시는 게 가장 좋지만, 일부 부착된 비닐까지 제거가 어려운 경우는 용기 안에 내용물을 비우고 깨끗한 상태로 플라스틱 수거함으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7. 투명 페트병의 내용물을 비우고 라벨을 제거한 후, 뚜껑은 다시 닫아야 하는지 아니면 따로 버리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투명 페트병 용기의 내용물을 비우고 부착상표(라벨)등을 제거한 후 가능한 압착 하여 뚜껑은 닫아서 분리수거하면 됩니다.

 

8. 일회용 인공눈물은 플라스틱 재활용인가요 쓰레기인가요??
인공눈물 용기는 플라스틱 재질로 재활용이 가능하지만, 크기가 작은 플라스틱의 경우는 재활용 선별장 여건에 따라 선별이 안될 가능성이 많습니다. 재활용 선별장 중에서 일부 기계식 자동화 시설을 갖춘 곳은 크기가 작은 것도 선별이 가능하지만, 수선별로 작업하는 시설에서는 선별이 안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아파트와 같이 플라스틱 수거함이 별도로 있는 곳은 플라스틱으로 배출하시면 되지만, 단독주택이나 상가처럼 재활용품을 통합 배출하는 곳은 재활용이 되지 않을 수도 있으니 이점 참고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9. 물티슈 다 쓰고 버릴 때 어떻게 버리나요? 뚜껑은 플라스틱으로 배출하는 것이 맞나요?
물티슈 뚜껑은 플라스틱 재질이고 용기는 비닐 재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배출방법은 뚜껑은 플라스틱으로, 용기는 비닐류로 각각의 재질에 맞게 재활용품으로 분리수거하면 됩니다.


10. 스트로우는 재활용 플라스틱인가요?
단일 재질로 되어 있는 플라스틱은 작은것도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다른 종류의 재활용품과 혼합되어 배출되면 재활용 선별장에서 작업자분들이 선별하기가 어려워 빨대와 같이 작은 플라스틱류는 잔재물로 배출됩니다. 따라서 플라스틱 분리배출함이 별도로 있는 곳은 플라스틱으로 배출해 주시고 그렇지 않은 곳은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만약
많은 양의 빨대를 배출하는 경우라면 흩날리지 않도록 묶거나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봉투에 담아서 재활용품으로 배출하면 됩니다.

 

11. 카세트테이프는 어떻게 버리면 되나요?? 그냥 플라스틱에 버려도 될까요??
재활용이 되기 위해서는 재질별로 분리한 후 배출해 주셔야 합니다. 카세트테이프의 내부 필름은 분리하여 종량제 봉투로 배출하시고, 케이스는 플라스틱으로 배출하시면 됩니다.

 

12. 플라스틱 재질의 3단 선반과 리빙박스를 버리려고 합니다. 어떻게 버려야 할까요?
선반과 리빙박스가 플라스틱 재질로만 되어 있다면 재활용품으로 배출해 주시면 됩니다. 다만 크기가 큰 경우는 대형폐기물에 해당될 수도 있으니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문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13. 플라스틱에서 라벨을 제거한 후에 끈끈이 혹은 접착제가 남아 있으면 일반 쓰레기인가요? 아니면 그래도 플라스틱류의 분리수거인가요?
플라스틱 용기의 라벨 제거 후 남은 접착 성분과 라벨에 묻어있는 접착 성분은 재활용 공정 세척과정에서 제거가 되므로 재질에 맞게 플라스틱 용기는 플라스틱 수거함으로, 라벨은 흩날리지 않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비닐봉투에 모아서 비닐류로 배출하여 주시면 됩니다.


14. 노끈, 케이블 타이는 재활용 쓰레기로 분류하는 게 맞는 건가요?
노끈과 케이블 타이는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지만, 일반적으로 재활용이 되는 PP, PE, PS 등의 플라스틱 용기 재질과는 물성이 달라서 재활용되지 않습니다. 노끈 종류는 종량제 봉투에 담아서 배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15. 멜라민 그릇과 접시가 20개 정도로 좀 많아요. 일반 종량제봉투에 버려도 될지 모르겠네요
멜라민 그릇/접시는 재활용이 어려우니 종량제 봉투로 배출해 주시기 바랍니다. 다만, 대량으로 배출하시는 경우 지역에 따라 재활용이 되는 곳도 있으니 구청이나 주민센터에 문의하신 후 배출하시기 바랍니다.

 

16. 형광등 커버에는 플라스틱과 유리로 된 게 있는데 각각 어떻게 분리배출해야 하나요?

형광등 커버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 재질로 되어있는데요. 플라스틱의 경우는 재활용품으로 배출해 주시면 되며, 유리류는 재활용이 어려우므로 구청이나 주민센터에서 종량제 마대를 구입하셔서 배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알아두면 쓸모있는 스티로폼 분리수거 방법

▶ 대부분 몰랐던 올바른 비닐 분리수거 방법

▶소형 가전 무료 수거 방법, 소형 폐가전 수거함 위치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