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항구, 항만 회사 시가총액(시총) 순위

전 세계 항구, 항만 회사 시가총액(시총) 순위

오늘은 7월 18일을 기준으로 전 세계 항구, 항만 회사들의 시가총액(시총) 순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시가총액의 경우에는 주가 및 환율이 계속해서 변하고 있기 때문에 그냥 참고용으로만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전 세계 항구, 항만 회사 가운데 시가총액(시총) 순위 1위는 홍콩에 기반을 두고 케이맨 제도에 등록된 다국적 대기업으로 2015년 3월 청쿵 홀딩스(Cheung Kong Holdings)와 허치슨 왐포아(Hutchison Whampoa)의 합병으로 설립된 CKH 홀딩스였습니다. 세계 굴지의 항구 투자자이자 개발업체 및 운영업체인 CKH 홀딩스는 세계에서 가장 분주한 10개의 컨테이너 항구 중 6개의 항구 터미널을 비롯하여 27개국에서 총 52개 항구에 대한 지분을 보유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전 세계 28개 시장에 16,300개 이상의 매장을 보유한, 세계 최대 수준의 국제 건강 및 미용 소매업체이기도 합니다. 2위는 인도 최초의 항구 기반 특별 경제구역을 포함하여 총 12개의 항구와 터미널 네트워크를 갖춘 인도 최대의 민간 항구 운영업체 아다니 포트 & SEZ였습니다. 아다니 포트 & SEZ는 세계 최대의 석탄 수입 터미널을 보유한 인도 최대의 민간 상업 항구 문드라 항구를 비롯하여 네팔, 방글라데시, 미얀마 등으로 가는 관문 역할을 하고 있는 담라 항구, 비료, 농산물, 철강 화물, 광물 등 모든 종류의 건화물 및 브레이크 벌크 화물을 취급하는 다헤즈 항구 등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1 CKH 홀딩스 (CK Hutchison Holdings) $23.11 B (약 29.16조) 홍콩
2 아다니 포트 & SEZ (Adani Ports & SEZ) $19.30 B (약 24.35조) 인도

 

 

 

 

 

 

 

3위는 아부다비의 항구 및 관련 인프라를 독점 개발, 규제하고 있는 아부다비 포트였습니다. 디지털, 경제 도시 및 자유 구역, 물류, 해양 및 항만이라는 5개의 통합 비즈니스 클러스터를 보유하고 있는 아부다비 포트는 아랍에미리트에서 총 10개의 터미널과 항구를 소유 및 운영하고 있으며 해양 클러스터는 SAFEEN을 통해 도선, 항만 예인선 및 견인, 선박 교통 서비스, 환적, 근해 및 육상 물류 지원을 포함한 다양한 해양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4위는 총 화물량과 컨테이너 처리량에서 봤을때 뉴질랜드에서 가장 큰 항구 운영 기업인 타우랑가 항구였습니다. 회사는 뉴질랜드의 국제 컨테이너 화물 허브, 벌크 화물 부두, 벙커링 시설 및 광범위한 화물 보관 구역을 운영하고 있으며 또한 오클랜드 사우스다운에서 내륙 항구를 운영하고 있기도 합니다. 가장 큰 컨테이너선을 수용할 수 있는 뉴질랜드의 유일 항구인 타우랑가 항구는 뉴질랜드 전체 화물의 37% 그리고 뉴질랜드 수출량의 약 40%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3 아부다비 포트 (Abu Dhabi Ports) $9.28 B (약 11.71조) UAE
4 타우랑가 항구 (Port of Tauranga) $2.64 B (약 3.33조) 뉴질랜드

 

 

 

 

 

 

 

5위는 주로 컨테이너와 재래식 화물을 다루는 항만을 운영 및 관리하며 또한 해양 서비스, 임대 서비스, 기타 보조 서비스를 포함한 광범위한 항만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스트포트였습니다. 관문 및 환적 컨테이너 화물을 처리하는 말라카 해협의 주요 항구 중 하나인 포트 클랑에 위치하고 있는 웨스트포트는 말레이시아 반도 중부 배후지의 컨테이너 및 재래식 화물의 주요 관문 역할을 하고 있으며 2020년 기준 컨테이너 1,050만 TEU, 재래식 화물 1090만톤을 처리했습니다. 6위는 세계 최초의 상장 컨테이너 항구 비즈니스 신탁회사인 HPH 트러스트였습니다. HPH 트러스트는 홍콩에서 홍콩 국제 터미널과 코스코히트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고, 중국에서 옌톈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과 후이저우 국제 컨테이너 터미널을 포함하여 총 6개의 터미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5 웨스트포트 (Westports) $2.62 B (약 3.3조) 말레이시아
6 HPH 트러스트 (HPH Trust) $1.68 B (약 2.12조) 싱가포르

 

 

 

 

 

 

 

7위는 북미에서 가장 분주한 석탄 수출 터미널로, 연간 3,300만 톤 이상의 석탄을 처리하고 캐나다와 브리티시 컬럼비아에 수십억 달러의 수출 수익을 제공하고 있는 웨스트쇼어 터미널 인베스트먼트였습니다. 8위는 캄보디아에서 유일한 심해항구를 운영 및 관리하고 있는 시아누크빌 오토노머스 포트로, 회사는 항해 서비스, 창고 및 운송 서비스, 기본 물류 서비스, 석유 탐사 공급 등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7 웨스트쇼어 터미널 인베스트먼트
(Westshore Terminals Investment)
$1.50 B (약 1.89조) 캐나다
8 시아누크빌 오토노머스 포트
(Sihanoukville Autonomous Port)
$1.42 B (약 1.79조) 캄보디아

 

 

 

 

 

 

 

9위는 일명 '세계로 가는 관문'으로 알려진 독일 최대 규모의 항구로 TEU 처리량 측면에서 봤을때 로테르담과 앤트워프에 이어 유럽에서 세 번째로 분주한 항구이자 전 세계적에서 15번째로 큰 항구인 함부르크 하펜이었습니다. 10위는 1905년 캄보디아 공공사업교통부와 경제재정부의 감독하에 설립된 항구로 연간 총 400,000 TEU를 처리할 수 있는 터미널 LM17을 컨테이너 화물의 주 터미널로 사용하고 있는 프놈펜 오토노머스 포트였습니다. 11위는 자카르타와 방콕 및 파타야에서 컨테이너 터미널을 관리하며 장비 서비스, 엔지니어링 서비스 그리고 장비 공급 등을 하고 있는 Nusantara Pelabuhan Handal이었습니다. 

순위 이름 시가 총액 본사
9 함부르크 하펜 (Hamburger Hafen) $0.95 B (약 1.19조) 독일
10 프놈펜 오토노머스 포트
(Phnom Penh Autonomous Port)
$0.39 B (약 4,921억) 캄보디아
11 Nusantara Pelabuhan Handal $0.18 B (약 2,271억) 인도네시아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