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취득세 세율, 신고 및 납부방법 등 총정리

아파트 취득세 세율, 신고 및 납부방법 등 총정리

 

 

1. 취득세란?

취득세는 부동산, 차량, 기계장비 등을 취득할 때 부과되는 지방세입니다.

아파트, 단독주택, 오피스텔 등 부동산을 구매, 상속, 증여, 신축할 때 취득세를 납부해야 합니다.

 

부동산 취득세 특징

  • 지방세로 부동산이 있는 지역의 지방자치단체(구청, 시청)에 납부
  •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 신고 및 납부
  •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취득세 감면 혜택 가능

 

 

 

2. 아파트 취득세율 (2024년 기준)

아파트 취득세는 취득 원인(구입, 증여, 상속 등)과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달라집니다.

 

(1) 일반 주택 구매 시 취득세율

구입한 주택의 가격과 보유 주택 수에 따라 세율이 결정됩니다.

주택 가격 1주택자 2주택자 (조정대상지역) 3주택 이상 (조정대상지역) 법인
1억 원 이하 1.1% 1.1% 1.1% 3%
1억 원 초과 ~ 3억 원 이하 1.1% 8% 12% 12%
3억 원 초과 ~ 6억 원 이하 1.1% 8% 12% 12%
6억 원 초과 ~ 9억 원 이하 1.1% 8% 12% 12%
9억 원 초과  3.5% 8% 12% 12%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는 취득세 중과

  • 2주택자: 8%
  • 3주택 이상: 12%
  • 법인 명의: 무조건 12%

 

(2) 증여로 취득한 경우

  • 증여 취득세율: 3.5% (일반 1주택자보다 높음)
  • 조정대상지역 내 2주택 이상 보유자의 증여: 12%

 

(3) 상속으로 취득한 경우

  • 상속재산가액 × 3.16% (누진공제 포함)
  • 상속받은 주택의 가격에 따라 세율이 차등 적용됨

 

 

 

3. 취득세 계산 방법

취득세는 다음 공식으로 계산됩니다.

 

취득세 = 과세표준 × 세율

  • 과세표준: 아파트 취득 가격(실거래가)
  • 세율: 앞서 설명한 취득세율 적용

예시 1: 1주택자가 6억 원 아파트를 구입한 경우

  • 취득세율: 1.1%
  • 취득세: 6억 원 × 1.1% = 660만 원

 

예시 2: 조정대상지역 3주택자가 10억 원 아파트를 구입한 경우

  • 취득세율: 12%
  • 취득세: 10억 원 × 12% = 1억 2천만 원

 

 

 

4. 취득세 신고 및 납부 방법

(1) 신고 기한

  • 부동산을 취득한 날로부터 60일 이내 신고 및 납부
  • 미신고 시 가산세 부과 (최대 20%)

(2) 신고 및 납부 방법

 

① 오프라인 신고

  • 아파트 소재지 시청, 구청 세무과 방문 신고
  • 신고서 작성 후 세무서에서 납부고지서 수령
  • 은행 또는 지방세 인터넷 시스템을 통해 납부

② 온라인 신고 (위택스, 이택스)

 

 

 

5. 취득세 감면 혜택 (2024년 기준)

다음 조건을 충족하면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생애최초 주택 구입자 감면

  • 조건: 부부 합산 소득 7천만 원 이하
  • 혜택: 1억 5천만 원 이하 주택 100% 감면, 3억 원 이하 50% 감면

신혼부부 취득세 감면

  • 조건: 부부 합산 소득 7천만 원 이하, 혼인신고 후 5년 이내
  • 혜택: 3억 원 이하 주택 50% 감면

다자녀 가구 (3자녀 이상) 감면

  • 혜택: 취득세 50~100% 감면

장애인 및 국가유공자 감면

  • 혜택: 일정 요건 충족 시 취득세 면제 또는 감면

농어촌주택 감면

  • 혜택: 2년 이상 거주 시 취득세 감면

 

 

 

6. 취득세 관련 주의사항

  • 60일 이내 미신고 시 가산세 발생
  • 조정대상지역 다주택자는 세금 폭탄 (최대 12%)
  • 신고 금액이 낮을 경우 추후 세무조사 가능
  • 공동명의 시 각각 취득세 부과됨

 

 

 

7. 결론

  • 아파트 취득세는 주택 가격과 보유 주택 수에 따라 달라짐
  • 일반 1주택자는 1.1~3.5% 적용, 다주택자는 최대 12% 중과
  • 부동산 취득 후 60일 이내 신고 및 납부 필수
  • 생애최초, 신혼부부, 다자녀 가구 등은 감면 혜택 가능

취득세 부담을 줄이려면 감면 요건을 사전에 확인하고, 세금 신고를 철저히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댓글

Designed by JB FAC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