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발급부터 혜택까지 총정리
전기차를 운행하는 운전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 ✔ 전국 공공·민간 충전소 사용 가능!
- ✔ 회원 요금제 적용으로 충전 비용 절감!
- ✔ 발급 후 간편하게 충전 및 결제 가능!
이번 가이드에서는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의 발급 방법, 사용처, 요금 체계, 할인 혜택 등을 최신 기준으로 정리했습니다.
1.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란?
- 환경부에서 운영하는 공공 충전소 및 일부 민간 충전소에서도 사용 가능
- 회원 요금제 적용으로 저렴한 충전 비용 제공
- 전기차 소유자라면 누구나 발급 가능
충전소마다 요금 정책이 다를 수 있으므로 충전 전 반드시 요금 확인 필수!
2. 카드 발급 방법 (누구나 신청 가능!)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는 다음 절차를 통해 간단하게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발급 절차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 접속
- 회원가입 후 로그인
- 충전카드 신청 메뉴 선택 후 차량 정보 입력
- 결제 정보 등록 후 신청 완료
- 약 1주일 내에 카드 수령 후 사용 가능
신청 후 별도 인증 절차 없이 바로 사용 가능!
3. 충전 요금 및 결제 방식
환경부 충전소 기준 요금 (2025년 기준)
- 급속 충전 (50kW급): kWh당 347.2원
- 완속 충전: kWh당 324.4원
결제 방식
- 자동 결제: 등록된 신용·체크카드로 자동 결제
- 비회원 결제: 현장에서 일반 신용카드 결제 가능 (요금 다소 높음)
충전소마다 요금이 다를 수 있으므로, 충전 전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앱을 통해 확인 필요!
4. 추가 할인 혜택 (전기차 전용 카드 추천)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의 결제 수단을 전기차 전용 신용카드로 등록하면 충전 요금 할인을 받을 수 있습니다.
1) 신한 EV 카드
- 전기차 충전 요금 최대 50% 할인
- 하이패스·대중교통·택시 이용 시 10% 할인
2) IBK I-어디로든 그린카드
- 전기차 및 수소차 충전 20~40% 적립
- 공유 모빌리티, 대중교통 이용 시 10% 적립
3) 삼성 iD EV 카드
- 전기차 충전 요금 50~70% 할인
- 주차장, 하이패스, 대리운전 10% 할인
충전 비용을 절감하려면, 전기차 전용 카드와 환경부 충전카드를 함께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
5. 충전소 이용 방법 및 유의사항
충전소 이용 방법
- 충전기 리더기에 충전카드를 태그하여 회원 인증
- 충전 완료 후 결제 정보 등록된 카드로 자동 결제
- 일부 충전소에서는 비회원도 신용카드 결제로 이용 가능
유의사항
- 충전 요금은 충전소별로 다를 수 있으므로 사전 확인 필수
- 비회원 요금이 더 비싸므로 충전카드 이용 권장
- 충전 후 일정 시간이 지나면 추가 주차 요금 부과될 수 있음
공공 충전소에서 장시간 주차 시 과태료 부과될 수 있으므로 유의!
6. 고객센터 및 문의처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관련 문의
- 한국자동차환경협회 고객센터 ☎ 1661-9408
충전소 고장 신고 및 서비스 문의
- 환경부 전기차 충전소 운영센터 ☎ 1522-2573
충전 중 문제가 발생하면 즉시 고객센터로 문의하세요!
7. 환경부 전기차 충전카드, 이렇게 활용하면 완벽!
- 무공해차 통합누리집(ev.or.kr)에서 간편하게 카드 신청
- 전기차 전용 신용카드와 함께 사용하면 추가 할인 가능!
- 전국 공공 및 일부 민간 충전소에서 이용 가능 (회원 요금 적용)
- 충전 요금은 사전 확인 후 이용 (충전소마다 다를 수 있음)
- 장시간 충전 후 방치하면 과태료 부과될 수 있으므로 주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