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기초생활수급비 완벽 가이드! 혜택 및 지원금 총정리
기초생활수급비는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선정되며, 생계급여·의료급여·주거급여·교육급여 등 다양한 형태로 지원됩니다. 2025년에는 기준 중위소득이 인상되면서 더 많은 가구가 지원을 받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 생계급여 최대 4인 가구 기준 월 195만 원 지급!
-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지원 기준 완화!
- 자동차·부양의무자 기준 완화로 수급 대상 확대!
오늘은 2025년 기초생활수급비 선정 기준, 지원 금액, 제도 변경 사항까지 자세히 확인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1. 2025년 기초생활수급자 선정 기준
기초생활보장제도의 지원 대상은 기준 중위소득을 기준으로 결정됩니다.
2025년에는 중위소득이 6.42% 인상되어, 보다 많은 가구가 지원 대상에 포함됩니다.
2025년 기준 중위소득 (월 기준)
가구원 수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중위소득 | 2,392,013원 | 3,932,658원 | 5,025,353원 | 6,097,773원 | 7,108,192원 | 8,064,805원 |
기준 중위소득의 일정 비율 이하인 가구만 해당 급여를 받을 수 있음!
- 생계급여: 중위소득의 32% 이하
- 의료급여: 중위소득의 40% 이하
- 주거급여: 중위소득의 48% 이하
- 교육급여: 중위소득의 50% 이하
2. 2025년 급여별 지원 금액
1) 생계급여 (기본 생활비 지원)
선정 기준:
- 중위소득의 32% 이하
지급 금액:
가구원 수 | 1인 가구 | 2인 가구 | 3인 가구 | 4인 가구 | 5인 가구 | 6인 가구 |
지급액 (월) | 765,444원 | 1,258,451원 | 1,608,113원 | 1,951,287원 | 2,274,621원 | 2,580,738원 |
- 소득이 있을 경우 차액 지급!
- 예를 들어, 4인 가구의 소득이 100만 원이라면, 1,951,287원 - 1,000,000원 = 951,287원 지급!
2) 의료급여 (의료비 지원)
- 선정 기준: 중위소득의 40% 이하
- 지원 내용: 병원 진료비 본인 부담 경감 (입원비 10%, 외래 진료비 1,000~2,000원 수준)
- 지원 범위: 건강보험이 적용되지 않는 항목도 일부 지원
3) 주거급여 (월세·주택 개보수 지원)
- 선정 기준: 중위소득의 48% 이하
- 지원 내용: 임차가구는 월세 지원, 자가가구는 집수리비 지원
월세 지원금 (지역별 차등 지급!)
가구원 수 | 1급지 (서울) | 2급지 (광역시) | 3급지 (중소도시) | 4급지 (농어촌) |
1인 가구 | 390,000원 | 320,000원 | 260,000원 | 210,000원 |
2인 가구 | 450,000원 | 370,000원 | 300,000원 | 240,000원 |
3인 가구 | 510,000원 | 420,000원 | 340,000원 | 270,000원 |
4인 가구 | 570,000원 | 470,000원 | 380,000원 | 300,000원 |
4) 교육급여 (학생 지원금 지급)
선정 기준:
- 중위소득의 50% 이하
지원 금액:
- 학년 지원 내용
- 초등학생 학용품비 + 부교재비 연 415,000원 지급
- 중학생 학용품비 + 부교재비 연 587,000원 지급
- 고등학생 학비 전액 + 연 654,000원 지급
교육급여는 소득에 상관없이 정액 지급됨!
3. 2025년 달라지는 기초생활보장제도
1) 자동차 재산 기준 완화
- 기존: 차량가액 200만 원 이하
- 변경: 차량가액 500만 원 이하
- 1,600cc 미만 차량만 가능 → 2,000cc까지 허용
2) 부양의무자 기준 완화
- 기존: 연 소득 1억 원 초과 시 수급 불가
- 변경: 연 소득 1.3억 원 초과 시 수급 불가
3) 근로·사업소득 공제 확대
- 기존: 근로·사업소득에서 일부 공제 후 소득 인정
- 변경: 공제 비율 확대 → 근로 유인을 강화
4) 자립 지원 프로그램 확대
- 취업 연계 교육 프로그램 확대
- 자활근로 기회 증가 → 수급자에서 탈출할 수 있는 기회 확대
4. 신청 방법 및 문의처
신청 방법
- 주민등록지 행정복지센터(주민센터) 방문
- 온라인 신청: 복지로 홈페이지(bokjiro.go.kr)
문의처
- 보건복지부 콜센터 ☎ 129
- 국민연금공단 ☎ 1355
신청 후 30일 이내에 결과 통보됨!
5. 2025년 기초생활수급비, 이렇게 준비하세요!
- 소득·재산 기준 확인 후 신청 가능 여부 판단!
- 생계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혜택 꼼꼼히 체크!
- 2025년 달라지는 제도 확인하여 추가 혜택 놓치지 않기!
- 신청 후 지급까지 1~2개월 소요될 수 있으므로 미리 준비!